2018. 3. 11. 23:11
반응형

apache php 개발환경 설정 (APM 환경)

mysql/mariadb 설치는 꽤 쉬운편이라서 생략한다.

설치가 좀 어려울 때는 한번에 설치할 수 있는 MAMP를 이용하면 된다.


아래 글을 따라하면 아마 잘되리라고 본다.

하지만 100% 확신은 없다.


설정을 다 하고 공유기의 포트포워딩을 이용하면 약간 자신의 사이트를 운영하는 기분이 든다.

아이피타임의 경우 원하는이름.iptime.org 의 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다.




아파치 설치

1. 아파치2.4 설치 압축파일 다운 링크에서 다운받는다.

https://www.apachelounge.com/download/


2. 압축을 풀면 보이는 Apache24 폴더를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압축을 푼다.

(윈도우를 포맷해도 설정파일 내용을 유지하고싶다면 D:/ 에 압축을 푸는게 좋다.)

3. conf 폴더 안에 있는 httpd.conf 파일을 메모장이나 편집기로 연다.

4. ServerRoot "c:/Apache24" 부분의 경로를 자신이 압축푼 경로로 수정한다.

5. DocumentRoot 경로와 그 밑에 있는 Directory 경로를 자신에 맞게 수정한다.

6. Apache24/bin 경로에서 cmd나 powershell을 열거나 이 경로를 환경변수에 등록한다.

7. httpd -k install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한다. (아마도 관리자모드로 cmd/powershell을 열어야 할지도 모른다.)


서비스 시작: httpd -k start

서비스 중지: httpd -k stop

서비스 재시작: httpd -k restart



php를 설치

1. 홈페이지에서 다운받는다. https://windows.php.net/download/

(Non Thread Safe, Thread Safe가 있는데 Thread Safe로 다운받았다.)

2. 압축을 풀고 폴더명이 좀 길기 때문에 짧게 php7로 바꾼다.

3. 이 폴더 또한 원하는 위치로 옮긴다. (나는 D드라이브로 옮겼다.)

4. 폴더 안에 있는 php.ini-development, php.ini-production 둘중 하나를 php.ini로 변경한다.

5. php.ini를 편집기로 열어 편집한다.

6. ; extension_dir = "ext" 을 찾아 주석을 풀고 나의 경우 경로를 "D:/php7/ext"로 변경했다.

7. 아파치와 연동시키기 위해 Apache24/conf/httpd.conf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고 다음을 추가한다.

PHPIniDir "D:/php7"

LoadModule php7_module "D:/php7/php7apache2_4.dll"

AddType application/x-httpd-php .html .php

AddHandler application/x-httpd-php .php



여기까지 하고 아파치를 재시작하고 Apache24/htdocs 폴더에 index.php파일을 만들고 브라우저에서 localhost/index.php 경로가 제대로 열리면 성공





톰캣과 연동

1. mod_jk.so 파일 다운 https://www.apachelounge.com/download/

2. Apache24/conf 폴더에 workers.properties 파일 생성후 다음과 같이 작성

worker.list=worker1

worker.worker1.host=localhost

worker.worker1.port=8009

worker.worker1.type=ajp13

worker.worker1.cache_timeout=600

worker.worker1.socket_keepalive=1

worker.worker1.socket_timeout=300

worker.worker1.lbfactor=1


3. httpd.conf 파일에 다음을 추가

LoadModule jk_module modules/mod_jk.so

JkWorkersFile conf/workers.properties

JkLogFile logs/mod_jk.log

JkLogLevel info

JkMount /app* worker1  #localhost/app 경로일때 톰캣쪽으로 호출 자신에 맞게 수정하는게 좋다.


톰캣 server.xml을 따로 수정하지는 않았다.


아파치 재시작, 톰캣 시작을 하고 localhost/app 경로로 갔을 때 톰캣 관련 내용이 뜨면 성공



반응형